OS/Raspberry Pi2014. 1. 1. 23:00

라즈베리 파이의 부팅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보드에 전원이 들어오고 GPU가 활성화된다.

2. SoC 내 ROM에 있는 첫번째 부트로더(Firmware)를 읽어들인다.

3. 첫번째 부트로더가 SD카드에 있는 두번째 부트로더(bootcode.bin)을 호출한다.

4. 두번째 부트로더가 SD카드에 있는 config.txt를 읽고 실행한다.

4. 두번째 부트로더가 세번째 부트로더(start.elf)를 호출 및 실행하여, ARM Core를 활성화한다.

6. ARM Core가 활성화되면 네번째 부트로더(kernel.img)를 호출, 실행한다.


그래서 Raspberry Pi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최소 파일은 다음 3개이다.

bootcode.bin

start.elf

kernel.img


이 중 start.elf는 두 가지 변형이 있는데,

start_cd.elf는 기존 start.elf의 Cut-Down 버전이고,

start_x.elf는 start.elf의 테스트 버전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 참조(영문)

http://thekandyancode.wordpress.com/2013/09/21/how-the-raspberry-pi-boots-up/


관련 소스

https://github.com/raspberrypi/noobs

https://github.com/raspberrypi/firmware


Posted by 마이클
OS2014. 1. 1. 21:37

Mac에서 ARM 크로스 플랫폼 개발환경 구축하는 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Mac에서 Xcode를 설치하면 ARM 크로스 플랫폼 개발환경이 생성되지만,

(/opt/local/bin/폴더에 arm-none-eabi-gcc 파일이 있으면 된다. - 숨김 폴더이므로 Finder에서 Cmd + Shift + G로 이동)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 새로운 툴을 설치하는 방법이다.

개발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은 MacPorts를 이용한 방법과 Homebrew를 이용한 방법의 두 가지가 있으며

MacPorts와 Homebrew 모두 리눅스에서 이용하는 apt-get과 같은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1. MacPorts를 이용한 방법

1.1. Xcode 설치 및 실행

App Store에서 Xcode(https://itunes.apple.com/kr/app/xcode/id497799835?mt=12)를 다운로드를 받는다.

다운로드가 끝나면 Xcode를 한 번 실행하여, Xcode 라이센스 동의 및 기본 설정을 완료한다.
(또는 터미널에서 sudo xcodebuild -license를 입력하여 라이센스 동의를 해도 된다.)


1.2. MacPorts 설치

MacPorts 사이트(http://www.macports.org/)로 이동하여 자신의 Mac OS 버전에 맞는 MacPorts를 다운로드 받는다.

사이트 좌측 Getting Started > Installing MacPorts 메뉴로 이동, Quickstart 항목에서 자신의 운영체제 버전을 클릭하면 된다.


1.3. arm-none-eabi-gcc 설치

터미널에서 MacPorts를 통해 arm-none-eabi-gcc를 설치한다.

sudo port install arm-none-eabi-gcc


2. Homebrew를 이용한 방법

2.1. Xcode 설치

App Store에서 Xcode(https://itunes.apple.com/kr/app/xcode/id497799835?mt=12)를 다운로드를 받는다.

다운로드가 끝나면 Xcode를 한 번 실행하여, Xcode 라이센스 동의 및 기본 설정을 완료한다.


2.2. Homebrew 설치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을 입력하여 Homebrew(http://homebrew.sh)를 설치한다.

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com/Homebrew/homebrew/go/install)"


2.3. 의존성 항목 설치

터미널에서 Homebrew를 통해 의존성 항목들을 먼저 설치한다.

brew install mpfr gmp libmpc libelf texinfo


2.4. arm-eabi-toolchain 다운로드 및 컴파일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툴을 다운로드하고 컴파일한다.

git clone https://github.com/jsnyder/arm-eabi-toolchain

cd arm-eabi-toolchain

make install-cross

생성된 툴은 홈폴더(~) 아래 arm-cs-tools 폴더에 있다.


관련 링크

http://elinux.org/RPi_Kernel_Compilation#Cross_compiling_from_OSX(영문)

Posted by 마이클
WebApp/JavaScript2012. 2. 16. 01:35
아이폰 웹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UIWebView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과 달리 스크롤이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코드를 입력하면 된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document.ontouchmove = function(e){ e.preventDefault(); } 
</script> 


위의 코드를 <head></head>사이에 넣으면 더이상 웹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롤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WebApp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페이지 이동(리다이렉트Redirect)  (0) 2010.08.13
Posted by 마이클
WebApp/SQL2011. 7. 3. 01:28
MySQL에서 password()함수는 4.1버전 이전까지는 16바이트byte,
그 이후 버전에서는 41바이트byte의 암호화된 값을 반환return한다.

만약 4.1이후 버전에서 그 이전 버전에서 생성한 값과 호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old_password()라는 함수를 사용햐여야 한다.

만약 4.1이후 버전에서 생성된 값을 이전버전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주소에 PHP코드를 참조하기 바란다.

http://www.happyjung.com/gnuboard/bbs/board.php?bo_table=lecture&wr_id=804&sca=PHP
Posted by 마이클
xFacility/Documents2010. 12. 2. 23:56
그간 xFacility 어플리케이션을 한 메뉴에 모으기 위한 고민을 하였다.
만약 사이트 내에 Viewer와 Blog라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다면 다음과 같이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Viewer
- Pictures
- Video
- eBooks
- Settings
Blog
- Notice
- Column
- Scrapbook
- Settings

이와 같은 메뉴 보여주기를 위해서는 우선 메뉴 형식의 통일화가 필요하다.
둘째로는 조금 복잡한 문제로써, 권한에 대한 것을 신경 쓸 필요가 있다. 위에 보이는 것처럼 Settings메뉴가 그냥 노출되어 있다고 하자. 그렇다고 Settings 메뉴를 아무나 들어갈 수는 없지 않은가! 하지만 어플리케이션 자체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으므로, 결국 이 권한에 대한 부분은 xFacility가 중간에서 조율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xFacility > Documen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xFacility Data Form데이터 형식  (0) 2010.10.20
xf_language 변수  (0) 2010.08.23
xFacility 변수 규칙  (0) 2010.08.07
문장 구조  (0) 2010.06.29
데이터 형식  (0) 2010.05.17
Posted by 마이클
WebApp/PHP2010. 10. 21. 01:33
PHP를 통해 폼으로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폼 작성 방식은 다른 폼과 크게 차이가 없으나 중요한 점이 하나 있다. 다음 코드를 살펴보자.
<form enctype='multipart/form-data' action='test.php' method='post'>
    <p>
        <label>File: </label><input type='file' name='file' /><br />
        <input type='submit' name='upload' />
    </p>
</form>

위 코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form태그 바로 옆에 있는 enctype='multipart/form-data'부분이다.
이 부분이 없으면, $_POST 변수로 파일명만 넘어가게 된다.
만약 $_FILES변수가 NULL값이고, $_POST변수에 업로드한 파일명이 나타난다면, enctype 설정이 잘못된 경우이다.
만약 고쳤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다면, 페이지에 재접속하여 파일을 업로드해보기 바란다.

업로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면 print_r()함수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Array
(
    [file] => Array
        (
            [name] => test.gif
            [type] => image/gif
            [tmp_name] => /tmp/phpmTiHI4
            [error] => 0
            [size] => 1596
        )
)

이 파일은 tmp_name이라는 경로로 임시 저장이 되는데, 이 파일을 영구저장하기 위해서는 move_uploaded_file()함수를 사용하여 별도의 경로에 저장을 하여야 한다.

$path = $_SERVER['DOCUMENT_ROOT'].$_FILES['file']['name'];
move_uploaded_file($_FILES['file']['tmp_name'], $path);
첫 번째 인수가 임시 파일의 경로, 두 번째 인수가 파일을 영구 저장할 경로이다.

위와 같이 지정하면 사이트 루트에 파일이 저장된다.

'WebApp > PH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를 이용한 Header 페이지 이동(리다이렉트Redirect)  (0) 2010.08.13
foreach 배열 반복  (0) 2010.08.12
다차원배열의 구성  (0) 2010.06.26
array_merge()  (0) 2010.06.25
Form과 Input 태그로 배열 넘기기  (0) 2010.06.24
Posted by 마이클
xFacility/Documents2010. 10. 20. 14:45
xFacility는 육하원칙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 일정한 데이터 형식을 갖고 있다.
C에서 데이터 형식을 혼동하여 사용하면 프로그램이 예기치 못한 오류를 발생하는 것처럼,
xFacility에서도 형식에 맞게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으면 오류를 발생한다.

데이터명[who][#][항목명]
데이터명[how][#][항목명]
데이터명[what][#][항목명]
데이터명[where][#][항목명]
데이터명[when][#][항목명]
데이터명[why][#][항목명]

'xFacility > Documen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플리케이션 메뉴  (0) 2010.12.02
xf_language 변수  (0) 2010.08.23
xFacility 변수 규칙  (0) 2010.08.07
문장 구조  (0) 2010.06.29
데이터 형식  (0) 2010.05.17
Posted by 마이클
WebApp/Instruction2010. 10. 4. 14:42
1990년대만 하더라도 학교에서 무엇에 대해 조사해오라는 숙제가 떨어지면, 방과후에 도서관을 찾거나 백과사전이 있는 친구집에 방문하여 그것을 얻어보며 과제를 했었다. 그렇게 책장 하나하나를 넘겨가며 내가 원하던 자료를 찾던 때와는 달리 십수년이 흐른 지금은 인터넷이라는 정보의 우물에서 간단히 두레박을 내려 퍼올리기만 하면 되는 시대가 되었다.

만약 자동차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네이버나 구글 같은 검색엔진에 자동차라는 키워드만 입력하면 된다. 자동차 정의에 관한 백과사전 사이트부터 중고차 매매를 하고 있는 카페의 글까지 자동차에 관한 모든 것을 찾아준다. 하지만 이렇게 검색을 한다고 해서 우리가 자동차에 대한 정보를 올바르게 습득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의문점이 남는다.

바로 그 까닭은 인터넷이 하이퍼링크 기반이라는 점에 있다. 하이퍼링크는 참조와 역참조라는 연결성만이 있을 뿐 순서와 그 체계성에 대해서는 치명적인 결함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자동차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그 앞에 선행되어야 하는 지식들-내연기관, 철강산업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인터넷에는 그저 키워드에 의한 연관관계로 이들 자료가 조직되어 있을 뿐, 자동차를 직접 만들어 볼 수 있을 정도-캠, 내연기관 등에 대한 이해를 완료한 수준-까지의 체계적 학습은 어렵다는 것이다.

지난 몇 년간 블로그가 엄청난 유행을 거뒀다. 블로그는 글의 시간흐름(시간의 연결성)을 기반으로 페이지를 구성하는 하나의 방식이다. 시간의 흐름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의 지식에 보충이 되는 새로운 소식을 접하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굉장히 편리한 방식이다. 그러나 (시간의) 연결성을 강조한 만큼 지식의 체계적 전달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취약할 수 밖에 없다.

만약 수학과 관련된 블로그를 보고 있다고 하자. 작성 시간에 따라 삼각함수에 대한 글 뒤에 바로 덧셈에 대한 글이 나올 수도 있고 최근에 발표된 난제 풀이에 관한 논문이 덧셈에 뒤이어 나올 수도 있다. 해당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이 있는 사람들은 문제가 없겠으나, 해당 사이트를 통해 수학을 덧셈부터 곱셈까지 학습하려는 목적으로 방문했다면 해당 자료가 있더라도 체계적 학습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때문에 블로그를 일정 테마(나름대로의 체계성)로 구성하지 않는 이상, 검색 유입이 아닌 고정 방문자를 유치하기 힘들다. 이제 블로그를 벗어나 해당분야에 대한 기초지식이 없는 사람도 쉽게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페이지 구성방식을 고민할 때가 온 것이다.

앞으로의 사이트 구성방식은 연결성과 체계성을 모두 갖춘 구조가 되어야 한다. 체계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사이트의 뼈대가 되는 메인 메뉴를 인과관계를 따져 논리적으로 배치해야 한다. 또한 인터넷의 장점인 연결성을 확보하기 위해 컨텐츠 하단에 관련항목에 대한 링크를 각주처럼 모아야 한다. 이렇게 두 가지 성질을 확보할 때 좋은 사이트로서 많은 방문자의 사랑을 받을 수가 있을 것이다.
Posted by 마이클
WebApp/CSS2010. 9. 27. 00:53
Internet Explorer 6(이하 IE6) 이하 버전에서는 PNG-24의 알파값이 제대로 표현이 되지 않아, 이미지의 투명한 부분이 불투명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PNG Fix 코드들이 존재한다. 작동원리는 모두 비슷하다. PNG이미지의 투명한 부분을 GIF 투명한 이미지로 교체하고 알파 값에 대해서는 IE만의 알파 필터를 적용하는 방식이다.

1. Javascript형 PNG Fix
Javascript를 이용해서 PNG Fix를 하는 코드가 있다. 이 코드는 Javascript 부분과 CSS부분으로 나뉘어 작동한다. CSS에서 어떤 오브젝트(태그, 클래스, 아이디)에 PNG Fix를 적용하는지 설정해놓는다. Javascript에는 지정된 오브젝트의 PNG 알파값을 읽어들여서 알파 값에 맞게 1x1px의 blank.gif를 섞어서 이미지를 출력한다.

2. HTC(HTCs:HTML Compoents)를 이용한 PNG Fix
HTC를 이용해서 PNG Fix 코드를 작성한 것도 있다. 서두에서 밝힌대로 작동원리는 모두 비슷하기 때문에 이 코드도 HTC코드 부분과 CSS부분으로 나뉘어 작동한다. HTC는 Microsoft에서 DHTML을 위해서 제정한 문서이기 때문에, PNG Fix를 필요로 하는 IE와 찰떡궁합을 가지고 있다. Javascript 방식과 동일하게 1x1px의 blank.gif를 섞어서 이미지를 출력한다.

둘 다 구현 코드의 언어가 무엇이냐는 차이일 뿐 그 원리는 같다. 그러므로 배경으로 지정된 PNG 파일(style="background-image:url(example.com/example.png)")도 투명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에(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사이트에 적용하기를 바란다.

Studio[2b]는 2번째 방식인 HTC를 이용한 PNG Fix를 이용하며, 다음 사이트에서 소스를 받아 사용하고 있다.

http://www.twinhelix.com/css/iepngfix/

여기서 파일을 받아 압축을 해제한다. 그 다음 iepngfix.htc와 blank.gif 파일을 도큐먼트가 있는 폴더에 같이 복사하여 넣는다. 마지막으로 도큐먼트 CSS코드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div, img {
    behavior: url(iepngfix.htc);
}

'WebApp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초기화  (1) 2010.05.30
가운데 정렬  (0) 2010.05.29
Posted by 마이클
xFacility/Documents2010. 8. 23. 14:46
xFacility의 변수인 xf_language는 사용자의 언어 정보를 담는다. 사용자가 가장 편한 언어를 최상위인 0번으로 하여, 익숙치 않은 언어일 수록 후번에 등록이 된다. 예를 들어,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고 제1외국어를 영어로 제2외국어를 일본어로 한다면, 그 사용자의 언어정보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것이다.
$xf_language['0'] = "ko-kr";
$xf_language['1'] = "en-us";
$xf_language['2'] = "ja-jp";

xf_language 변수는 사용자의 정보이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에 상관 없이 유지, 보존되어야 한다. 그래서 사용자 로그인 후 세션 정보로 이를 등록할 필요가 있는데 xFacility변수의 기본 규칙을 따라 php의 경우 $_SESSION['xf_language']에 그 내용을 입력한다.

'xFacility > Documen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플리케이션 메뉴  (0) 2010.12.02
xFacility Data Form데이터 형식  (0) 2010.10.20
xFacility 변수 규칙  (0) 2010.08.07
문장 구조  (0) 2010.06.29
데이터 형식  (0) 2010.05.17
Posted by 마이클